리눅스/우분투
VMWARE 6.5 에 우분투를 설치해 봅시다아~
터프키드.
2009. 3. 27. 22:25
우선 VMWARE 6.5 를 실행합니다. 다른 버전은 약간 상이할 수 있습니다만 거의 비슷합니다
File -> New -> Virtual Machine 을 클릭하시거나 Ctrl+N 을 누르세요
요딴 창이 하나 뜹니다. 그냥 Next를 눌러 진행하겠습니다~
다음창에서는 맨 마지막 옵션을 선택합니다. "이거 다 만들고 인스톨할래" 입니다
운영체제를 고르는 옵션입니다. Linux 를 고르고 아래 버전에서 Ubuntu 를 클릭합니다.(64bit버전 사용자분들은 Ubuntu 64bit 를 선택합니다)
버추얼 머신 이름은 내키는대로~ 로케이션 설정은 저는 외장하드에 지정하였습니다
8기가 정도면 테스트용 서버 구축하는데 지장이 없겠죠.. (저는 개인서버로 남아도는 데스크탑에 네이티브로 설치하였습니다)
위와같은 창이 나오면 커스터마이즈 하드웨어 버튼을 눌러 커스터마이징 합니다.
플로피 따위는 필요없으므로 지워버렸구요
네트워크 어댑터 쪽에서 기본 NAT으로 설정되어있는데 브릿지로 했습니다(브릿지의 경우 공유기에서 가상아이피를 받아오므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지금 설치하고 있는 네이티브 컴퓨터의 아이피와 동일하게 다른 번호를 가져옵니다. 추후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을 해줄 예정이니 단독으로 가상아이피를 받는것이 좋습니다.)
시디롬 쪽에 가서 ISO 파일을 선택했습니다. 6.5버전에서 새로 나온 기능 같은데요(6.0버전에선 없었음) 6.0에서는 가상 드라이브에 해당 ISO 파일을 넣고 해당 드라이브를 선택했었죠..
유에스비 컨트롤러 설정합니다. 저는 Show all USB input devices 를 체크해 주었습니다.
아마도 네이티브에 연결된 모든 USB장치를 인식할 것입니다..
메모리 설정에서 메모리를 1024로 올렸습니다..
이제 ok 를 두번 누르시면 자동으로 부팅합니다.
부팅후 원래 언어 설정 셀렉트창이 나오는데 제가 깜빡잊고 캡춰를 안했네요. 부팅 후 바로 뜨는 언어설정 셀렉트 창에서는 "한국어"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시 F3키를 바로 눌러서 Korean 을 선택합니다.
이제 우분투 설치하기(I) 를 선택하고 설치를 시작합니다.
한국어를 고르시구요~
키보드는 우측 두번째것으로 설정했습니다.
이름은 무엇입니까? 이건 이름을 말하는거에요.. 그냥 영문이름 적어주시면 됩니다
로그인시 어떤 이름을 사용하시겠습니까? 는 아이디를 말하는겁니다.. 영문으로 입력하시면되구요(유저계정이 생성되는겁니다)
암호를 입력하고 컴퓨터이름은 자동세팅 상태로 두었습니다
맨 아래 Log in automatically 는 자동로그인 입니다.. 저는 자동로그인 체크했구요.. 부팅후 자동으로 로그인상태가 됩니다.
다음페이지는 시간설정하고 그런건데 패스~(캡춰를 못했음;)
열심히 설치중입니다.
설치를 마쳤군요.. 지금 다시 시작을 클릭하시면 재부팅 하고 사용이됩니다.
재부팅 후에 우측 상단에 빨간색 아래 화살표 모양을 더블클릭하시면 업데이트 관리자가 뜹니다.. 업데이트 해줘야겠죠~
암호를 묻는데 암호는 아까 계정 생성할 당시 비밀번호입니다.
VMWARE에 우분투를 설치해 봤습니다.. 네이티브 설치도 동일하게 설치하시면 됩니다..
이후에 연계해서 APM을 설치하고 Tomcat6를 연동해서 JSP 환경도 꾸며볼 예정입니다
앞으로 원격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우선 우분투 8.10에 기본으로 탑재되어있는 원격데스크탑을
http://minicube.tistory.com/trackback/227 를 참조하여 활성화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