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크롬
- 이스트
- 인링구아
- 캐필라노
- 시보레
- chrome
- 라운드큐브
- CMD-2021
- 브라우징
- RT73
- 웹메일
- Ra Link
- 벤쿠버교통
- 메트로타운
- iptime
- 자전거
- RoundCube
- 파리공원
- 미니스프린트
- Inlingua
- 자출
- 스팀클락
- CMD2021
- 2존도서관
- 하버파크
- Capilano Suspension Bridge
- 개스타운
- G054U-A
- 벤쿠버
- 스카이트레인
- Today
- Total
목록리눅스/우분투 (5)
Second Life
[출처] http://blog.naver.com/budget74?Redirect=Log&logNo=90103735211 budget74 님 Bug tracking systems 세상에 맨티스밖에 몰랐다. 좀더 심플하고 직관적인게 없을까 찾아보기 시작했다. Wiki에서 보고 `아! 이거다.` 하는 생각에 설치하기 시작했는데 Ubuntu에서 설치기는 찾기 못했다. 일단 아래사이트를 참고로 설치를 시작했다. 간간히 적시되지 않은 문제들이 있었지만 삽질이 능사였다. [참고] Free/Opensource 소개 - Wikipedia, http://en.wikipedia.org/wiki/Bug_tracking_system Readmine 설치 - http://www.redmine.org/projects/redmine..
일단 우분투(8.10)를 설치합니다.. 무선랜카드를 끼운 상태로 우분투를 설치합니다... 드라이버는 우분투님께서 자동으로 설치해줍니다. (제 무선랜카드는 ralink 사의 드라이버를 사용합니다 rt73) (home 디렉토리 만약 설치시 aaa라는 기본 계정을 만들었다면 해당 유저의 home 디렉토리 /home/aaa/.gnome2/keyring 디렉토리에서 default.keyring 과 login.keyring 을 지웁니다. rm *.keyring 하셔도 될듯) 우측 상단 네트워크 메니저 아이콘(검정색 모니터 두개 겹쳐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AP를 잡아놓고 있습니다 현재는 당연히 접속이 안되구요.. 해당 AP이름을 클릭하면 Wireless Network Authentication Requir..
화면이 답답하실땐 화면 해상도를 변경해주세요~ VMWARE 6.0에서는 해상도를 위해 뭘 설치해야했었는데 6.5버전에서는 여러가지 해상도를 다 지원합니다 시스템 - 기본설정 - 화면해상도 ( 저기 화면 해상도 바로 밑에 보이는 아래 화살표 보이시죠? 이놈한테 마우스 오버하시거나 클릭하셔야 화면 해상도가 툭 튀어나옵니다 ) 저는 모니터가 1280x1024여서 요래 선택했습니다 선택후 이렇게 화면이 넓어졌네요 속 시원합니다 Ctrl+Alt+Enter 치시면 이렇게 전체화면으로 뜹니다 저는 듀얼모니터를 사용하고 있어서 왼쪽엔 윈도우즈 7 오른쪽엔 우분투 켜놓고 쓴답니다~ (빨리 버리고 와이드 모니터 가고싶어요..ㅠㅠ;)
이번엔 우분투에 PHP와 JSP 개발 환경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혹시 문제점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저도 공부해가면서 하고있으니까요~ 님하가 우분투를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http://blog.tuffkid.net/34 이곳을 참고해서 우분투부터 설치하세요. 우분투 부팅후 시스템 - 관리 - 시냅틱 꾸러미 관리자를 실행합니다 이딴 창은 닫기를 눌러주시구요 이딴 창이 뜨면 설치할 목록을 선택합니다.. 우측에 빠른검색창에서 검색하셔서 설치하시면 빠릅니다~ 아래는 제가 설치한 패키지 목록입니다.. 루비관련이나 subversion은 아직 연동 해본적없고 앞으로 연동 공부해보려고 설치하는거니 잘 모르시는분은 sun-java6-sdk 까지만 설치하시면 되겟습니다; - apache2 - mysql - mysql-admi..
우선 VMWARE 6.5 를 실행합니다. 다른 버전은 약간 상이할 수 있습니다만 거의 비슷합니다 File -> New -> Virtual Machine 을 클릭하시거나 Ctrl+N 을 누르세요 요딴 창이 하나 뜹니다. 그냥 Next를 눌러 진행하겠습니다~ 다음창에서는 맨 마지막 옵션을 선택합니다. "이거 다 만들고 인스톨할래" 입니다 운영체제를 고르는 옵션입니다. Linux 를 고르고 아래 버전에서 Ubuntu 를 클릭합니다.(64bit버전 사용자분들은 Ubuntu 64bit 를 선택합니다) 버추얼 머신 이름은 내키는대로~ 로케이션 설정은 저는 외장하드에 지정하였습니다 8기가 정도면 테스트용 서버 구축하는데 지장이 없겠죠.. (저는 개인서버로 남아도는 데스크탑에 네이티브로 설치하였습니다) 위와같은 창이 ..